가입시기별 실비보험에서 급여와 비급여 본인 부담금이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실비보험은 가입 시기에 따라(몇 년, 몇 월)
본인 부담금 / 보장 내용 / 면책기간 등이 다 다른데요
이번에는 본인 부담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입시기별 급여, 비급여 본인 부담금
가입시기에 따른 본인 부담금은 다음과 같이 나뉘게 됩니다.
1) 2009년 8월 이전 가입자
2) 2009년 8월 ~ 2015년 8월 가입자
3) 2015년 9월 ~ 2017년 3월 가입자
4) 2017년 4월 ~ 2021년 6월 가입자
5) 2021년 7월 이후 가입자
지금부터 이 5가지 가입시기에 따른 차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2009년 8월 이전 : 1세대, 표준화 이전(~ 2009년 7월 31일)
2009년 10월 이전에 판매했던 실비는 표준화 이전이라고 얘기합니다.
ㄱ. 입원 : 본인 부담금 없음
ㄴ. 통원(외래 + 약제비) : 5천 원 또는 1만 원 공제(급여, 비급여 구분 없음)
이때는 통원 한도가 10만 원, 30만 원, 50만 원, 100만 원 중 하나였습니다.
50만 원과 100만 원은 일부 채널 또는 회사에서만 판매했습니다.
50만 원과 100만 원 가입자는 한도가 높은 대신 공제금이 1만 원이기도 했습니다.
가장 많이 가입하는 10만 원과 30만 원 가입자는 5천 원 공제라고 보시면 됩니다.(급여, 비급여 구분 없음)
2. 2009년 8월 : 2세대, 실손 의료비 표준화 1차(2009년 8월 ~ 2013년 1월(4월))
생명보험, 손해보험의 실손보험이 표준화되었습니다.
2세대 실비보험 중 유일한 3년 갱신입니다.(재가입 없음)
ㄱ. 입원 : 급여 10%, 비급여 10%
ㄴ. 외래 : 의원 1만 원, 병원 1만 5천 원, 상급종합병원 2만 원(급여, 비급여 구분 없음)
ㄷ. 약제비 : 8천 원(급여, 비급여 구분 없음)
3. 2013년 1월(4월) : 2세대, 실손 의료비 표준화 2차(2013년 1월(4월) ~ 2015년 8월)
1년 갱신 / 15년 재가입 / 단독형 실비보험 판매 개시(상품명 : 실손 의료비 보험)
ㄱ. 입원 : 급여 10%, 비급여 10% / 통상 병원비의 90%로 계산하면 됩니다.
ㄴ. 외래 : 의원 1만 원, 병원 1만 5천 원, 상급종합병원 2만 원(급여, 비급여 구분 없음)
ㄷ. 약제비 : 8천 원(급여, 비급여 구분 없음)
4. 2015년 9월 : 2세대, 실손 의료비 표준화 3차(2015년 9월 ~ 2017년 3월)
선택형 II
이때부터는 급여와 비급여가 얼마인지를 알아야 계산이 가능합니다.
ㄱ. 입원 : 급여 10%, 비급여 20%
ㄴ. 외래 : 급여 10%와 비급여 20% 합산액과 병원별 공제금 중 큰 금액 공제
(병원별 공제금 : 의원 1만 원, 병원 1만 5천 원, 상급종합병원 2만 원)
ㄷ. 약제비 : 급여 10%와 비급여 20% 합산액과 8천 원 중 큰 금액 공제
5. 2017년 4월 : 3세대, 실손 의료비 표준화 4차(2017년 4월 ~ 2021년 6월)
선택형 II(변동 없음) / 비급여 3종 출시(비급여 도수치료·체외 충격파·증식치료 / 주사 / 자기공명 영상진단 MRA, MRI)
ㄱ. 입원 : 급여 10%, 비급여 20%
ㄴ. 외래 : 급여 10%와 비급여 20% 합산액과 병원별 공제금 중 큰 금액 공제
(병원별 공제금 : 의원 1만 원, 병원 1만 5천 원, 상급종합병원 2만 원)
ㄷ. 약제비 : 급여 10%와 비급여 20% 합산액과 8천 원 중 큰 금액 공제
ㄹ. 비급여 3종 : 도수치료·체외 충격파·증식치료 / 주사 / 자기공명 영상진단 MRA, MRI
2만 원과 보상 대상 의료비의 30% 중 큰 금액 공제
6. 2021년 7월 : 4세대 실손 의료비(2021년 7월 ~)
ㄱ. 입원 : 급여 20%, 비급여 30%
ㄴ. 통원(외래와 약제비가 합쳐짐)
- 통원 급여 1 : 의원, 병원으로 다녀온 경우 + 약제비의 급여 비용
1만 원과 보장 대상 의료비(외래 급여 비용과 약제비 급여 비용의 합산액)의 20% 중 큰 금액 공제
- 통원 급여 2 :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으로 다녀온 경우 + 약제비의 급여 비용
2만 원과 보장 대상 의료비(외래 급여 비용과 약제비 급여 비용의 합산액)의 20% 중 큰 금액 공제
- 통원 비급여
3만 원과 보장 대상 의료비(외래 비급여 비용과 약제비 비급여 비용의 합산액)의 30% 중 큰 금액 공제
ㄷ. 비급여 3종 : 도수치료·체외 충격파·증식치료 / 주사 / 자기공명 영상진단 MRA, MRI
3만 원과 보상 대상 의료비의 30% 중 큰 금액 공제
4세대는 어렵기 때문에 예시를 통해 설명드릴게요.
4세대는 앞선 2~3세대처럼 외래는 외래 실비에서 계산, 약제비는 약제비 실비에서 계산으로 하지 않습니다.
4세대부터는 외래와 약제비가 합쳐졌습니다.
대신 통원 급여 / 통원 비급여
이렇게 급여와 비급여를 각각 공제하는 것으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예시)
ㄱ. 종합병원에서 치료받고 병원비 10만 원(급여 1만 원, 비급여 9만 원)
ㄴ. 약제비 2만 원 나옴(급여 0원, 비급여 2만 원)
통원 급여부터 계산을 할게요.
=> 통원 급여 : 1만 원과 보장 대상 의료비(외래 급여 비용과 약제비 급여 비용의 합산액)의 20% 중 큰 금액 공제
1만 원과 보장 대상 의료비(외래 급여 1만 원과 약제비 급여 0원의 합산액 1만 원)의 20% 중 큰 금액 공제
=> 1만 원과 합산액 1만 원의 20%인 2천 원 중 큰 금액인 1만 원 공제
=> 급여 1만 원 - 큰 금액 1만 원 = 0원
통원 비급여 계산을 할게요.
=> 3만 원과 보장 대상 의료비(외래 비급여 비용과 약제비 비급여 비용의 합산액)의 30% 중 큰 금액 공제
3만 원과 보장 대상 의료비(외래 비급여 9만 원과 약제비 비급여 2만 원의 합산액 11만 원)의 30% 중 큰 금액 공제
=> 3만 원과 합산액 11만 원의 30%인 3만 3천 원 중 큰 금액인 3만 3천 원 공제
=> 비급여 11만 원 - 3만 3천 원 = 7만 7천 원
# 보험금 계산
급여 0원 + 비급여 7만 7천 원 = 7만 7천 원 보상
이렇게 급여 계산(외래 급여 + 약제비 급여) + 비급여 계산(외래 비급여 + 약제비 비급여)
=> 급여와 비급여를 각각 계산하여 합산을 하시면 됩니다.
끝.
1세대 ~ 3세대 실손 의료비 보험 가입시기별 본인 부담금 및 주요 특징 2
1) 1세대(2009년 8월 이전) ㄱ. 상해 의료비 입원 : 100% / 통원 : 100% ㄴ. 상해 입원의료비 입원 : 100% ㄷ. 상해 통원의료비 통원 : '외래+처방' 합산액에서 5천 원 공제 ㄹ. 질병 입원의료비 입
hyeonsik0523.tistory.com
3세대 실비보험 계산 방법(2017년 4월 ~ 2021년 6월)
✔ 3세대 실비보험 2017년 4월 ~ 2021년 6월까지 판매된 실비보험 ✔ 구성 1. 기본 실비 상해 입원, 상해 외래, 상해 약제비 질병 입원, 질병 외래, 질병 약제비 2. 3대 비급여 비급여 도
hyeonsik0523.tistory.com
4세대 실비보험 보험금 계산 방법(입원, 통원, 비급여 3종)
4세대 실비보험의 보험금 계산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4세대 실비보험의 구성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계약(상해 급여, 질병 급여) 2) 선택계약(상해 비급여, 질병 비급
hyeonsik0523.tistory.com
'Useful >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입시기별 실비보험 입원 의료비 변천 사항(갱신 주기, 본인 부담금, 면책기간) (0) | 2022.05.09 |
---|---|
태아 보험(어린이), 태아 실손보험(실비) 성별이 다른 이유 (0) | 2022.05.07 |
2021년 7월, 4세대 실비보험 주요 변경 사항 (0) | 2022.05.05 |
가입시기별 실비보험 하지 정맥류 보상 여부 (0) | 2022.05.04 |
하루에 2회 이상 통원 치료 시 실비보험 계산 방법 (0) | 2022.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