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nA

보험 가입 시 고지의무에서 투약에 대해서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by Expert991 2022. 3. 9.
반응형
728x170

 

 

 

 

질문

보험 가입 시 고지의무에서 투약에 대해서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

 

​계약 전 알릴 의무

 

고지의무 질문지를 보시면 투약이라고 된 질문이 2개가 있습니다.(11대 질병은 잠시 제외하고)

1) 내가 오늘 약 처방을 받았습니다.

-> 그럼 3개월 동안 고지의무가 발생하게 됩니다.

-> 3개월 이내 보험을 가입하시려면 질문지 1번에 체크를 해야 합니다.

-> 체크를 하기 싫다면? 3개월 뒤에 가입을 하시면 됩니다.(지금이 3월이니까 6월에 보험 가입)

-> 그럼 그때를 기준으로 최근 3개월 이내 투약이라는 고지의무에 해당하지 않을 테니까요.

2) 내가 3월에 보험을 가입하려고 합니다.

2022년 3월을 기준으로 최근 5년 이내(2017년 3월 ~ 2022년 3월)

투약 처방받은 일수가 30일이 넘으면 고지를 해야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30일의 기준은 같은 원인으로 치료 시작 후 완료일까지 투약 받은 일수의 합산입니다.

내가 2018년 7월에 ㄱ이라는 질병으로 10일 치 약을 처방받음

2018년 9월에 ㄱ이라는 질병으로 10일 치 약을 처방받음

2019년 1월에 ㄱ이라는 질병으로 10일 치 약을 처방받고 끝

-> 계속하여 30일 이상 처방받은 이력이 있으므로 2022년 3월에 보험을 가입하려면 고지를 해야 됩니다.

-> 고지를 하지 않으려면? 마지막 약 복용일인 2019년 1월로부터 5년 뒤에 보험을 가입해야 됩니다.

고지의무는 내가 보험을 가입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을 합니다.

3월에 가입을 한다면 2022년 3월을 기준점으로 삼으세요.

투약을 처방받은 일수가(동일 질병에 대해서)

30일 이하라면 -> 마지막 약 복용 일로부터 3개월이 지나면 고지의무가 사라지지만

30일 이상이라면 -> 최근 5년을 끊어서 합산일수 30일 이하가 되어야 고지의무가 사라집니다

 

 

상품별 계약 전 알릴 의무(고지의무)

보험 상품별 고지의무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일반 보험 예전부터 지금까지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입하는 보험의 알릴 의무입니다. 2021년 1월부터 개인형 이동 장치에 대한 고지의무가 추

hyeonsik0523.tistory.com

.

 

가입시기별 실비보험 급여, 비급여 본인 부담금(입원, 통원)

가입시기별 실비보험에서 급여와 비급여 본인 부담금이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실비보험은 가입 시기에 따라(몇 년, 몇 월) 본인 부담금 / 보장 내용 / 면책기간 등이 다 다른데요 이

hyeonsik0523.tistory.com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