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nA

학생 때 가입한 보험이 있는데 이번에 취직을 했습니다. 직업 변경은 어떤 방법으로 해야 하나요?

by Expert991 2021. 5. 16.
반응형
728x170

 

 

 

 

질문

제가 대학생 때 엄마가 들어주신 실비보험, 암보험이 있습니다.

이번에 사무직으로 취직을 하게 되었는데 직업 변경 같은 걸 해야 되나요?

해야 되면 어떤 방법으로 해야 하나요?

 

 

 

 

답변

대학생은 상해급수 1급, 사무직도 상해급수 1급입니다.

​같은 상해등급 간에는 직업이 변경되었어도 보험사에 직업 변경에 대한 통지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상해등급이 2급이나 3급으로 낮아졌을 때 통지의무를 지키셔야 하니 지금은 그냥 놔두셔도 됩니다.

물론 변경을 하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원칙적으로는 변경을 해야 하는 게 맞는 거니까요.

다만 같은 급수로의 이동이므로 보험료 변동은 없습니다.

참고로 상해급수가 바뀌면 상해 특약에 대한 보험료만 변동됩니다.(질병 특약은 변동 없음)

직업 변경은 계약자가 담당 설계사에게 연락해서 변경 진행을 해야 하며

변경 시 계약자와 피보험자의 변경 신청서에 서면 동의를 하고

변경 신청서와 계약자 신분증 사본을 보험사 또는 담당 설계사에게 전달해 줘야 합니다.

끝으로 부모님께서 가입시켜 주신 보험의 경우 계약자가 부모님으로 된 경우가 많습니다.

계약자도 본인으로 변경하셔야 연말정산 시에 보험료 세액공제가 되므로

이번에 변경 작업하시면서 계약자도 본인으로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손해보험사 직업 변경시 왜 추징금을 낼까?

손해보험사 직업 변경시 왜 추징금을 낼까? 네이버 지식인을 하면 가장 많이 올라오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왜 직업 변경이 되었는데 추징금을 낼까요? 그냥 바뀐 보험료로만 앞으로 쭉 내면 될

hyeonsik0523.tistory.com

.

 

보험회사에 알려야 하는 알릴 의무(계약 전 알릴 의무, 직업·직무 변경 통지 의무)

보험회사에 알려야 하는 알릴 의무는 2가지가 있습니다. ​ ​ 첫 번째는 '계약 전 알릴 의무'입니다. 보험을 가입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회사가 제시하는 알릴 의무 질문지에 해당하는 내용을 고

hyeonsik0523.tistory.com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