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손의료보험 청구 간소화(실손24) 서비스가 의료계의 참여 부족으로 가시밭길을 걷고 있다. 일부 의료기관이 수수료 등 금전적인 보상까지 요구하고 나서자 실손24 서비스가 용두사미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실손24를 운영하는 보험개발원이 서비스 확대를 위해 의료계에 협조를 구하고 있지만 참여율은 여전히 저조하다. 현재 실손24 서비스와 연계된 의료기관(병상 30개 이상 병원급)은 500여 개로 1단계 시행 대상의 약 7% 수준에 불과하다.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는 실손24 애플리케이션이나 PC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면 △진료비 내역 △진료비 계산서·영수증 △진료비 세부산정내역서 △처방전 등 각종 서류가 자동으로 보험사에 전송되는 서비스다. 지난해 10월 처음 도입되면서 보험금 청구 절차가 간편해져 고객 편익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의료기관의 소극적인 참여로 인해 제도 효과가 사실상 반감되고 있다. 올해 10월 동네 병ㆍ의원으로 확대되는 2단계 사업 성공 여부도 불투명하다.
보험업계는 실손24 활성화를 위해 시스템 개발 및 구축 비용 1000억 원을 부담했다. 그러나 정작 병원, 약국 등이 전송대행기관(보험개발원)과 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의무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 보험업법에 명시돼 있지만 이를 어겨도 처벌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실손24, 의료계 수수료 요구 논란…"불참 시 처벌 규정 필요"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의료계 참여 의무 있는데되레 수수료 등 금전 요구"유인책·처벌 규정 없는 탓"실손의료보험 청구 간소화(실손24) 서비스가 의료
www.etoday.co.kr
'보험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 소식] 25년 6월 출시 예정인 5세대 실손보험...어떻게 바뀌나 (0) | 2025.03.27 |
---|---|
[보험 소식] 보험료 줄이고 보장 늘리고···‘착한 보험’ 꺼내든 보험사 (0) | 2025.03.27 |
[보험 소식] MG손해보험 매각 무산 후폭풍…고객·설계사 집단행동 확산 (0) | 2025.03.27 |
[보험 소식] "암환자 두 번 울리는 보험사… ‘직접치료’ 기준 자의적 해석 논란" (0) | 2025.03.25 |
[보험 소식] MG손보 가입자 주의사항 "섣부른 해지 금물" (0) | 2025.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