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nA

정신과 진료기록이 남으면 나중에 보험 못 든다고 하는데 맞나요?

by Expert991 2020. 12. 3.
반응형
728x170

 

 

 

 

질문

정신과 진료 보험 관련

1) 정신과 진료기록이 남으면 나중에 보험 못 든다고 해서 비보험으로 하려는데 그럼 보통 얼마 정도 나오나요?

상담 센터 말고 정신과 의원이요 찾아보니 초진이면 조금 더 비싸던데 약 처방 2~4주 정도 포함해서 대충 15만 원 정도 하나요?

2) 비보험이 비급여인가요?

병원에서 결제할 때 비보험으로 해주세요 하면 되나요? 보험에 대해 잘 몰라서요 ..

3) 제가 실비보험은 가입돼잇는 상태인데 물어보니 1년마다 갱신하는 거라는데요

그럼 혹시 제가 정신과 결제할 때 보험처리해서 기록 남으면 이 1년 갱신도 못하게 되는 건가요??

4) 정신과 결제 비보험으로 하면 기록 안 남아서 다른 보험 아무 때나 들 수 있는 거 맞나요?

 

 

 

 

답변

1번은 제 분야가 아니라서 패스하겠습니다.

2) 비보험이 비급여인가요?

병원에서 결제할 때 비보험으로 해주세요 하면 되나요? 보험에 대해 잘 몰라서요

-> 비보험은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제가 실비보험은 가입돼잇는 상태인데 물어보니 1년마다 갱신하는 거라는데요

그럼 혹시 제가 정신과 결제할 때 보험처리해서 기록 남으면 이 1년 갱신도 못하게 되는 건가요?

-> 실비보험에서 정신과 질환을 보장하는 것은 2016년 1월 1일 이후 판매된 실비보험입니다.

-> 질문자님이 가입하신 실비가 2016년 1월 이전이라면 면책이라 청구할 수 없고

2016년 1월 이후라면 일부 항목에 대해서 급여비용에 한하여 보상이 가능합니다. 급여만 보상하오니 참고하세요.

그리고 1년 갱신 그냥 보험료 갱신입니다.

치료를 받든 안 받든, 보험금 청구를 하든 안 하든

그냥 1년마다 보험료 갱신입니다.

그리고 이 부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려드릴 테니 잘 들으세요.

 

 

 

 

2013년 4월 이후 실비를 가입하신 분들은

ㄱ) 1년마다 보험료가 갱신됩니다.

ㄴ) 15년마다 재가입을 해야 됩니다.

실손의료보험은 15년마다 가입자에게 실손의료보험에 대해 다시 가입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는데

-> 이를 '재가입'이라고 합니다.

 

 

 

1) 실손의료보험은 15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 계약의 보장내용(보장범위, 자기부담금 등)이 관련 법령, 금융위원회 명령, 표준 약관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 그리고 15년은 실손의료보험의 보장내용 변경 주기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2) 가입자는 재가입 시점에 해당 보험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실손의료보험 상품으로 재가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재가입 시점에 보장내용이 확대된 실손의료보험이 판매되고 있는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요?

 

보험사의 인수지침에 따라 재가입 신청이 거절되더라도 직전 계약과 동일한 상품으로 재가입이 가능합니다.

(병력이 있더라도 재가입을 거절할 수는 없음)

가입자 입장에서는 설령 확대된 실손의료보험으로 재가입이 거절되더라도

직전 계약과 동일한 상품으로 재가입이 되기 때문에

사실상 불이익(손해)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 15년 뒤 재가입 시점에 혹시라도 보험금 청구 이력이 많다고 재가입이 거절되지 않을까요?

2) 15년 뒤 재가입 시점에 병력이 있다고 재가입이 거절되지 않을까요?

라는 걱정은 접어두시기 바랍니다.

 

 

4) 정신과 결제 비보험으로 하면 기록 안 남아서 다른 보험 아무 때나 들 수 있는 거 맞나요?

-> 비보험으로 처리하셔도 고지하셔야 합니다.

-> 병원기록은 남아있습니다.

-> 보험 가입 후에 병원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동일 질병으로 계속하여 7일 이상 치료를 받으면 -> 5년간 고지의무 발생

동일 질병으로 계속하여 30일 이상 투약 처방을 받으면(먹든, 안 먹든) -> 5년간 고지의무 발생

고지의무 발생하기 전에 보험을 가입하세요.

그게 아니라면 고지의무가 끝난 뒤에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정신과 질환에 대해서 고지할 경우 암보험 이외는 가입 불가입니다.

암보험도 일부 회사에서만 승인해 줍니다.

그 정도로 정신과 질환은 고지를 하면 가입에 제한이 큽니다.

 

상품별 계약 전 알릴 의무(고지의무)

보험 상품별 고지의무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해당 내용은 2023년 1월 1일 기준입니다. 1) 일반 보험 예전부터 지금까지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입하는 보험의 알릴 의무입니다. 2021년 1월부터 개

hyeonsik0523.tistory.com

 

가입시기별 실비보험 정신과 질환 F코드 보상 여부(정신과 질환)

실손 의료비 보험 가입시기별 F코드 보상 여부 ​ ​1) 2016년 1월 이전 가입자 F04~F99(F00~F03 치매는 보상) 정신과 질환에 관한 F코드는 치매를 제외하고 모두 면책입니다. ​ 2) 2016년 1월 이후 가입

hyeonsik0523.tistory.com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