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nA

실비보험 직업 급수를 바꾸면 차액을 돌려받을 수 있나요?

by 프로페셔널's 2020. 10. 31.
반응형

 

 

 

 

질문

실비보험 직업 급수

실비보험 가입할 때 제조업에서 일을 해서 그때 맞는 급수로 가입을 했는데 현재 7년 넘게 사무직을 하고 있습니다.

직업을 바꾸면 보험회사에 알려서 고지하는 것을 몰랐습니다.

지금 급수 변경 요청하면 불이익이 있나요?

인터넷 찾아보니 급수별 내야 할 보험료가 달라서 돌려받을 수 있다는데 7년이나 지난 동안의 차액을 돌려받을 수 있나요?

 

 

 

 

답변

상해급수는 1급, 2급, 3급으로 구분을 합니다.

​사무직은 상해 발생 위험도가 가장 낮은 1급에 해당되고,

​제조업은 업종에 따라서 2급 또는 3급에 해당이 됩니다.

​가입 당시에는 상해 2급 또는 3급으로 가입을 하셨는데

​7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상해 1급 사무직으로 직업 변경 고지를 하면

지난 7년 동안 더 납부한 상해담보의 차액부분을 환급해 드리고

​상해관련 특약들의 보험료를 낮춰 드리게 됩니다.

반대로, 상해급수가 나중에 2~3급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해담보의 보험료가 올라가고 상해특약 보험료에 대한 추징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보험회사에 알려야 하는 알릴 의무(계약 전 알릴 의무, 직업·직무 변경 통지 의무)

보험회사에 알려야 하는 알릴 의무는 2가지가 있습니다. ​ ​ 첫 번째는 '계약 전 알릴 의무'입니다. 보험을 가입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회사가 제시하는 알릴 의무 질문지에 해당하는 내용을 고

hyeonsik0523.tistory.com

.

 

손해보험사 직업 변경시 왜 추징금을 낼까?

손해보험사 직업 변경시 왜 추징금을 낼까? 네이버 지식인을 하면 가장 많이 올라오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왜 직업 변경이 되었는데 추징금을 낼까요? 그냥 바뀐 보험료로만 앞으로 쭉 내면 될

hyeonsik0523.tistory.com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