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nA

직업 급수 2급에서 3급으로 변경되면 보장받을 금액이 줄어드나요?

by Expert991 2021. 2. 22.
반응형
728x170

 

 

 

 

질문

보험 직업 급수 변경

현재 메리츠 월 15만 원 정도 보험 가입 납부 중에 있습니다.

20년 7월 퇴사하여 직업 급수 2급에서

11월 중 직업 급수 3급으로 일용직 근무 중에 있습니다.

상해관련 보험은

상해수술비 100만 원

상해후유장해 1억

상해사망 1억이고

질병 관련해서는 대부분 5000만 원 정도로 넣어놨는데

3급으로 변경되면 보장받을 금액이 줄어드나요?

상해관련 보험 3개 정도인데 직업 급수 변경하면 월 15만 원에서 얼마나 오르나요?

직업 변경 고지 깜빡해서 못하긴 하여 고지는 할 예정입니다.

 

 

 

답변

직업 급수... 정확하게는 상해급수라고 표현합니다.

상해급수가 바뀌면 상해특약의 보험료에만 변동이 생깁니다.

상해급수가 2급에서 3급이 된다면

1) 상해 특약의 보험료가 인상이 됩니다.

2) 가입했던 상해 특약의 가입 금액이 하향 조정됩니다.

가령 골절진단비라는 특약은 3급은 최대 30만 원까지만 가입이 된다면

2급일 때 골절진단비 50만 원으로 가입된 경우에는 30만 원으로 하향 조정됩니다.

3) 상해특약에 대한 추징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 상해관련 보험은

상해수술비 100만 원 ->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50만 원 등)

상해후유 장해 1억 ->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5천만 원 등)

상해사망 1억이고 -> 의무특약이라 변동 없습니다.

# 월 15만 원에서 얼마나 오르나요?

-> 이건 알 수가 없습니다.

-> 이건 담당 설계사가 배서 처리를 하기 전 설계 화면에서 처리해봐야 알 수 있습니다.

-> 담당 설계사 이외의 사람은 알 수가 없습니다.

질병 관련은 보험료 변동도 없고 가입 금액이 줄어들지도 않습니다.

상해특약에 대해서만 변동이 생깁니다.

 

손해보험사 직업 변경시 왜 추징금을 낼까?

손해보험사 직업 변경시 왜 추징금을 낼까? 네이버 지식인을 하면 가장 많이 올라오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왜 직업 변경이 되었는데 추징금을 낼까요? 그냥 바뀐 보험료로만 앞으로 쭉 내면 될

hyeonsik0523.tistory.com

 

보험회사에 알려야 하는 알릴 의무(계약 전 알릴 의무, 직업·직무 변경 통지 의무)

보험회사에 알려야 하는 알릴 의무는 2가지가 있습니다. ​ ​ 첫 번째는 '계약 전 알릴 의무'입니다. 보험을 가입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회사가 제시하는 알릴 의무 질문지에 해당하는 내용을 고

hyeonsik0523.tistory.com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