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남동구에 사는 50대 A씨는 지난해 경기도의 한 한방병원에서 도수치료를 15회 받았다며 보험금 300만원을 청구했다. 하지만 보험사 확인 결과 A씨가 받은 처방은 공진단과 경옥고였다. A씨는 도수치료 진료 확인서와 진료비 영수증 등을 허위로 발급받아 실손의료보험금을 편취했다.
이처럼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과도한 도수치료 등 일부 비중증·비급여 치료가 ‘관리급여’로 지정돼 의료비 90% 이상을 본인이 부담하게 된다. 과잉진료 우려가 있는 비중증·비급여 항목은 실손보험에 가입하더라도 보장받지 못할 수 있다.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정책토론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비급여 관리·실손보험 개혁’ 정부안을 공개했다. 현재 10~20% 수준인 비급여 진료의 환자 본인부담금을 90~95%까지 올리는 것이 핵심이다.
건강보험 재정 부담과 실손보험 적자를 부추기는 주범으로 꼽혀온 비급여 진료에 ‘철퇴’를 내리겠다는 것이다. 관리급여 항목을 신설해 비급여 과잉진료를 단속하고 불필요한 병행진료는 급여를 제한하기로 했다.
소위 ‘의료쇼핑’과 과잉진료가 만연하면서 필수의료가 붕괴되고 실손보험에서도 매년 2조원 안팎의 적자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다만 정부는 비급여 시장의 팽창이 실손보험의 과도한 보장 및 미약한 심사 체계와 맞물려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실손보험 개혁 방안도 함께 내놨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기존 문제점을 개선한 5세대 실손보험 개편안을 발표했다. 5세대 실손보험은 비중증·비급여 항목에 대한 보장은 줄이고 중증 질환을 중심으로 보장을 강화하는 데 방점을 뒀다.
현행 4세대 실손보험은 주계약으로 건강보험 급여, 특약으로 비급여 진료의 본인 부담을 보장하는 구조다. 자기부담률은 급여는 20%, 비급여는 30%다. 5세대 실손보험은 급여 진료에서 일반·중증 환자를 구분해 자기부담률을 다르게 매긴다.
‘보험금 빼먹기’ 실손보험 손본다…도수치료 환자부담 20%→90% - 매일경제
인천 남동구에 사는 50대 A씨는 지난해 경기도의 한 한방병원에서 도수치료를 15회 받았다며 보험금 300만원을 청구했다. 하지만 보험사 확인 결과 A씨가 받은 처방은 공진단과 경옥고였다. A씨는
www.mk.co.kr
'보험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 소식] ‘골병’든 실손보험 고친다… 도수치료비 90% 이상 본인이 부담 (0) | 2025.01.10 |
---|---|
[보험 소식] 비급여·실손보험 개혁안에 의료계·소비자 반발 (0) | 2025.01.10 |
[보험 소식] 정부, 실손보험 개혁안…자기부담금 30→50%·한도 5000만→1000만원 축소 (0) | 2025.01.09 |
[보험 소식] 실손보험 믿고 비급여 과잉진료 못하게…실손 본인부담 확 올린다 (0) | 2025.01.09 |
[보험 소식] 실손보험, 90세도 가입 가능해진다 (0) | 2025.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