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1세대 실비보험 가입자입니다.
2023년 2월 15일 이석증 진료 (보상받음)
2024년 7월 01일 이석증 진료 (면책기간 보상 안 됨)
같은 병명으로 병원을 1년도 더 지나 방문했는데요.
2024년 2월부터 6개월간은 이석증 면책기간이라 보상 안 된다는데요.
무슨 병원 1년 몇 개월 만에 갔는데 이럴 수가 있나요?
그동안 꾸준히 병원 갔으면 이해라도 하는데 이게 맞는 건가요?
답변
1세대 질병 통원의료비 약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의 질병에 대해서
진단 확정일로부터 365일 기간 한도 / 30일 일수 한도
-> 30일을 다 쓰면 그때부터 면책기간 발생
-> 30일을 다 쓰지 않아도 365일이 지나면 면책기간 발생
2023년 2월 15일 이석증 진료 (보상받음)
2024년 7월 01일 이석증 진료 (면책기간 보상 안 됨)
-> 여기에서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다만

최종 통원 일로부터 180일이 지나면 새로운 발병으로 간주하여 다시 보상합니다.(리셋)
그러니까 질문자님이 마지막 통원을 한 날로부터 180일이 지난 시점에 다시 치료를 받으시면
그때는 리셋이 된 상태이므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이라는 부분이 중요합니다.
약관에 나온 것처럼 최종 통원 일로부터 180일 지난 뒤에는 리셋입니다.
가입시기별 실비보험 담보별 면책기간 정리(입원, 통원)
가입시기별 면책기간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2009년 8월 이전 가입자(표준화 이전) 1) 2009년 7월 31일까지 가입자(표준화 이전) (8월과 9월은 유예기간 가입자로 최초 3년만 표준화 이전 실
hyeonsik0523.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