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nA

정신과 진료를 받아볼까 생각하고 있는데요. 정신과 치료를 받으면 나중에 보험 가입이 어렵거나 불이익이 있다는 걸 봐서요. 진짜 그런가요? 심리 상담 말고 약물치료를 받고 싶어서요.

by Expert991 2022. 4. 11.
반응형
728x170

 

 

질문

정신과 진료를 받아볼까 생각하고 있는데요

정신과 치료를 받으면 나중에 보험 가입이 어렵거나 불이익이 있다는 걸 봐서요.

진짜 그런가요?

심리 상담 말고 약물치료를 받고 싶어서요.

 

 

 

 

답변

# 계약 전 알릴 의무

고지의무에서 치료와 투약에 대한 질문지는 2가지입니다.

1) 최근 3개월 이내 치료, 투약이 있으면 고지(보험 가입 시점을 기준으로)

2) 최근 5년 이내 계속하여 7일 이상 치료, 계속하여 30일 이상 투약 처방 시 고지(보험 가입 시점을 기준으로)

질문자님이 1회의 치료, 1회의 투약만 받았다면(30일이하여야 됨)

-> 3개월만 지나면 고지의무는 사라지게 됩니다.

->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질문자님의 보험 가입을 하려는 시점을 기준으로

가령 2022년 4월에 보험 가입을 하려고 함

2017년 4월 ~ 2022년 4월 사이에 정신과 치료를 7일 이상 받았거나, 30일 이상 투약처방을 받았다면 고지해야 됩니다.

(계속하여 : 치료 시작 ~ 치료 완치까지 걸린 치료 일수 합산, 처방받은 투약 일수 합산)

정신과 질환을 고지하면 암보험 이외는 모두 가입 거절이므로 고지의무가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가입을 하시거나

-> 일반 고지를 하는 상품보다 보험료가 비싼 유병자 간편 보험으로 가입을 하셔야 됩니다.

-> 유병자 간편 보험은 치료와 투약에 대한 고지의무가 없습니다.(대신 보험료가 비싸고 가입할 수 있는 특약도 제한적)

​1회의 치료나 30일 이하의 정신과 약 처방은

보험 가입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3개월만 지나면 되니까요.

최근 5년 이내 계속하여 7일 이하의 치료, 30일 이하의 투약이라면

-> 3개월만 지나면 고지의무 사라지고

최근 5년 이내 계속하여 7일 이상 치료, 30일 이상의 투약이라면

-> 5년을 기다려야 하므로 가입할 보험이 있다면 가입 후에 치료나 투약 처방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