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질문
저는 개인사업자에 일반 과세인데요.
직장 가입자인 남편의 피부양자로 들어갈 수 있나요?
답변
사업자등록이 있으며 사업소득 발생 시 피부양자 인정요건 미충족으로 등재 불가합니다.
피부양자 인정요건 참고 바랍니다.
<피부양자 인정요건>
보험료를 부담하지 않는 피부양자는 직장가입자에게 주로 생계를 의존하는 자로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제2조 제1항 '피부양자 자격의 인정기준'의
부양 요건과 소득, 재산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인정됩니다.
1. 소득요건
- 사업자등록이 있으나 사업소득 없음
- 사업자등록이 없고, 사업소득 연간 500만 원 이하
(주택임대 소득이 있는 경우는 제외)
- 장애인·국가유공자·보훈대상 상이자는 사업자등록 여부에 상관없이 사업소득 연간 500만 원 이하
- 모든 소득(사업소득 포함)을 합하여 합산소득 연 3,400만 원 이하
※ 기혼자의 경우 부부 모두 위 요건을 충족하여야 함
2. 재산요건
- 재산과표 5억 4천만 원 이하
- 재산과표 5억 4천만 원 초과하면서 9억 원 이하이고, 연간 소득 1천만 원 이하
- 형제, 자매의 경우 1억 8천만 원 이하
- 기혼자라도 부부 개인별로 재산요건을 충족하면 인정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Q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편의 피부양자로 들어가 있는데요. 제가 간이사업자로 가게를 시작했더니 12월부터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었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어떻게 해야 되나요? (0) | 2021.12.28 |
---|---|
제가 사업소득이 있어서 건강보험 자격상실이 된다고 안내문을 받았습니다. 피부양자를 계속 유지하려면 사업소득이 얼마나 있어야 하나요? (0) | 2021.12.28 |
국가 건강검진받을 때 폐 CT도 포함되어 있나요? (0) | 2021.12.27 |
지역가입자는 피부양자 등록을 못 하나요? (0) | 2021.12.24 |
부모님이 이혼하시고 저는 엄마랑 사는데 건강보험은 아빠 밑에 있어요. 엄마 밑으로 옮기려면 아빠가 먼저 빼줘야 가능 한 거죠? (0) | 2021.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