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nA

원칙상 6시간 이상 입원 처리되어 보험 보상이 더 잘된다고 하는데 이게 맞나요?

by Expert991 2020. 12. 24.
반응형
728x170

 

 

 

 

질문

응급실 mri 비용 및 보험처리

어제(20일) 아침에 수영 다이빙하다가 머리를 심하게 부딪혀서 목이 확 꺾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팔로 짚어서 양쪽 팔꿈치도 부딪혔고요.

낮에는 별 이상 없어서 그냥 있다가 저녁에 양쪽 어깨 관절이 많이 아팠고요.

오늘(21일) 오전에도 양쪽 어깨 관절에 통증이 꽤 심해서 재활전문병원을 가서 설명했더니

팔을 짚고 목이 꺾일 때 근육이 놀라서 그럴 수도 있지만 일단 경추손상 가능성 등도 있으니 대학병원 가서 MRI 등 촬영해보라고 의뢰서를 작성해 주었습니다.

근데 당장 심각하게 느껴지지 않아서 괜한 돈 쓰는 게 아닌가 싶어 아직 안 가고 있는데요.

약간씩 멍한 느낌이랑 눈이 침침해지는듯한 느낌도 생기는 것 같고, 어깨관절도 계속 통증이 있어서

내일 오후에 응급실 가서 진료를 받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대전 대청 병원이나 건양대병원을 방문하려고 하는데,

1. 응급실에서 의뢰서 들고 가서 MRI, CT 등 촬영하면 대략적인 비용이 어느 정도 나올지.

2. 2016년 가입 실비보험이 있는데 (통원 25만 원 한도) 실 부담금이 어느 정도 될지.

3. 원칙상 6시간 이상 입원 처리되어 보험 보상이 더 잘된다고 하는데 이 가능성은 없을지

(병원에서는 입원 처리를 최대한 안 하려고 하는 게 맞는 거죠?)

 

 

 

 

답변

1. 응급실에서 의뢰서 들고 가서 MRI, CT 등 촬영하면 대략적인 비용이 어느 정도 나올지

-> 이건 제가 아는 부분이 아니라 패스하겠습니다.

-> 병원에 문의를 해봐야 될 것 같네요.

2. 2016년 가입 실비보험이 있는데 (통원 25만 원 한도) 실 부담금이 어느 정도 될지.

-> 2016년 가입자는 다음과 같이 보상합니다.

ㄱ. 입원 : 5천만 원 한도로 발생한 병원비의 '급여 90% + 비급여 80%'를 보상합니다.

ㄴ. 외래 : 급여 10% + 비급여 20% 합산액 vs 의원으로 다녀왔으면 1만 원과 비교 후 큰 금액 공제

급여 10% + 비급여 20% 합산액 vs 병원으로 다녀왔으면 1만 5천 원과 비교 후 큰 금액 공제

급여 10% + 비급여 20% 합산액 vs 상급종합병원으로 다녀왔으면 2만 원과 비교 후 큰 금액 공제

3. 원칙상 6시간 이상 입원 처리되어 보험 보상이 더 잘된다고 하는데 이 가능성은 없을지

(병원에서는 입원 처리를 최대한 안 하려고 하는 게 맞는 거죠?)

-> 의원이나 병원이라면 병원 측과 협의 후 당일 입원(6시간)이 가능하지만

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의 경우에는 뚜렷한 입원 사유가 정밀검사를 통해 발생하지 않으면 입원을 허용해 주지 않습니다.

의원이나 병원급 의료기관에서야 융통성을 발휘해서 당일 입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 주지만

그 이상의 의료기관에서는 어렵습니다.

보험 보상이 더 잘 되는 게 아니라

외래는 1일 최대 보상금액이 25만 원이기 때문에

그 이상의 병원비가 나와도 25만 원까지만 보상을 하기 때문에

MRI 등의 검사를 받았을 때 대부분의 병원비를 보상받으려면 하루라도 입원을 해야 합니다.(못해도 당일 입원)

다만 그게 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은 힘들다는 거죠.

 

가입시기별 실비보험 비급여 MRI 보험금 계산 방법

비급여 MRI 검사를 하고 실비 청구를 했을 때 가입시기별 실비보험에서 보험금이 어떻게 지급되는지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 실비보험은 가입 시기에 따라(몇 년, 몇 월)

hyeonsik0523.tistory.com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