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보험사 감사임원 소집
내달 보험료 최대 30% 인상
막판 공포 마케팅 한층 기승
불완전판매 가능성 높아져

금융감독원이 다음달 무·저해지 보험료 인상을 앞두고 보험사 단속에 나섰다. 금융당국은 보험사가 요금 인상을 근거로 삼아 소비자를 압박하는 '절판 마케팅'이 판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24일 국내 생명·손해보험사 감사 담당 임원을 소집한다. 다음달 무·저해지 보험료가 인상됨에 따라 곳곳에서 '인상 전 막차'를 앞세운 마케팅 사례가 보고되면서 금융당국이 주의를 주려는 차원이다. 금감원은 지난 17일부터 일 단위로 무·저해지 보험 판매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과거엔 고객이 해지 시 환급금이 많은 보험을 선호했으나 몇 년 새 보험과 투자를 별개로 보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무·저해지 상품의 인기가 높아졌다. 자기에게 필요한 보장만 받고 보험료를 낮추는 편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하는 고객이 늘어난 셈이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작년 1~11월에 무·저해지 보험 상품의 초회보험료는 1조2531억원이다. 전년 같은 기간의 8889억원에 비해 40%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다수 보험사가 무·저해지 보험을 실적 부풀리기에 활용하는 부작용이 나타나며 금융당국은 해당 상품 개선 작업에 돌입했다. 고객 입장에서는 무·저해지 보험에 가입했을 때 환급금이 나오지 않는 초기보다 환급금이 일부라도 나오는 시기부터 해지할 동기가 커지는데, 보험사는 가입자가 초기에 많이 해지할 것으로 가정해 낮은 가격을 유지해온 것이다. 보험사의 가정과 달리 무·저해지 보험 가입자가 초기 예상보다 많은 환급금을 받아가면 이는 보험사의 손실로 이어지고, 결국 고객에 대한 미지급 사태를 초래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말 무·저해지 보험에 보다 낮은 해지율을 적용하고 표준형과 비교해 더 많은 해지 위험액을 쌓도록 제도를 바꿨다. 국내 보험사는 이에 맞춰 다음달부터 무·저해지 상품 보험료를 10~30% 올릴 예정이다.
금융당국이 보험사 임원을 소집하는 건 일부 보험사와 대리점을 중심으로 절판 마케팅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서다. 한 생보사는 최근 법인보험대리점(GA)에 "무·저해지 전 상품의 보험료가 4월 인상될 예정"이라며 "3월 가입이 타이밍"이라는 내용이 담긴 영업 방향 보고서를 보내기도 했다. 밀어내기식 판매가 이뤄지면 추후 고객의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보험료가 인상되기 직전 불완전판매와 금전이나 상품 등의 리베이트 제공을 막아 소비자 피해를 방지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 대형 손보사 임원은 "무·저해지 보험은 대형사 입장에선 크게 수익성이 없는 상품이라 원래부터도 전체 판매 중 30% 선으로 유지하도록 관리하고 있다"며 "금융당국의 보수적 가정에 따라 상품의 보험료 인상과 보장 축소가 이뤄지면 소비자 선택권이 제한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무·저해지 보험
중도 해지 시 해지환급금이 없거나 적은 상품. 그만큼 보험료가 10~40% 저렴하게 책정됐으나 4월부터 보험료가 인상된다.
무·저해지 보험 절판마케팅에 칼 빼든 당국 - 매일경제
24일 보험사 감사임원 소집내달 보험료 최대 30% 인상막판 공포 마케팅 한층 기승불완전판매 가능성 높아져
www.mk.co.kr
'보험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 소식] '질병 숨기고 가입했는데'.. 法, "보험금 지급해야" (0) | 2025.03.24 |
---|---|
[보험 소식] 보험 전기간 부담보 해제 분쟁 발생 시 이것 먼저 기억해야 (0) | 2025.03.24 |
[보험 소식] 창상봉합술, 보험금 못 줘 (0) | 2025.03.24 |
[보험 소식] 5세대 실손보험 등장…비급여 본인 부담 95% 확정 (0) | 2025.03.24 |
[보험 소식] MG손보 졌다…대법 "암 보험 원발부위 기준, 가입 시 설명해야" (0) | 2025.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