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북과 아이패드를 모두 사용하고 계신 분들은 2가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사이드카
2. 유니버설 컨트롤
먼저 사이드카는 아이패드를 보조 모니터처럼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맥북과 아이패드를 나란히 놓고 모니터 확장을 설정하면
확장된 디스플레이, 내장 디스플레이 미러링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번에 설명할 '유니버설 컨트롤'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맥북에서 마우스를 모니터 옆으로(왼쪽 또는 오른쪽 / 설정 가능) 가지고 가면
그 벽을 뚫고 마우스가 아이패드로 이동합니다.
맥북에 연결된 마우스 또는 트랙 패드로 아이패드를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아이패드에서 네이버 블로그를 열고 맥북의 키보드로 글을 쓸 수도 있습니다.
유니버설 컨트롤을 하려면 다음과 같이 진행하시면 됩니다.
아이패드에서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일반에서 'Air play 및 Handoff'로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활성화해줍니다.
맥북에서도 일반에서 'Air play 및 Handoff'로 들어가서 '이 Mac과 iCloud 기기 간에 Handoff 허용'을 활성화해주시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n5HA/btssf3pSOF6/30uMSIe4qotqktHPxN7oik/img.jpg)
맥북에서 디스플레이로 들어갑니다.
고급을 눌러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KbtlN/btssk1jWDii/lRt5pgcLrpQxQunAKkosA1/img.jpg)
아래의 3개를 모두 활성화해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bzsYS1/btssfSu2DcJ/V8gwCPTbjmZaYoIudlgD7K/img.jpg)
오른쪽에 있는 +를 눌러줍니다.
(참고로 유니버설 컨트롤이 연결되면 상단 막대에 네모 모양 가운뎃줄이 그어진 아이콘이 나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aLJyn/btssqo661jR/a6A1FA0NeREIg8UPBDjW31/img.jpg)
'다음으로 키보드 및 마우스 연결'에서 아이패드를 선택해 주세요.
그럼 끝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vLo0d/btssqw4ZqzD/Y1eiYpxM1HGsyLEikK4rN0/img.jpg)
정렬을 누르시면 아이패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맥북의 왼쪽에 있으면 마우스로 맥북의 왼쪽으로 옮기시면 됩니다.
그럼 마우스를 맥북 화면의 왼쪽으로 이동하면 벽을 뚫고 아이패드로 마우스가 이동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kuZRe/btssqoTwy8S/AxE7lebYKAV8Rnt8mvbTuK/img.jpg)
지금 저는 맥북으로 블로그 글을 쓰면서 왼쪽에는 아이패드로 음악을 듣고 있습니다.
지금 2개의 기기가 유니버설 컨트롤로 연결된 상태라 맥북의 마우스와 키보드로 아이패드를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보내는 것도 아이패드에서 마우스로 파일을 클릭하고 오른쪽에 있는 맥북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에어드랍보다 더 쉽습니다.
그냥 마우스로 클릭해서 옆으로 끌어다 놓기 하면 되니까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IT 애플·삼성 > 애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북(Mac) 스크린 샷 3가지 방법 (0) | 2023.08.30 |
---|---|
맥북(Mac)에서 '마우스 뒤로 가기' 사용하는 방법 (0) | 2023.08.29 |
맥북 독 바(Dock) 아이콘 밑에 점 표시 없애는 방법 (0) | 2023.07.31 |
아이폰, 아이패드 위젯 스택 스마트 전환 끄는 방법(위젯 고정) (0) | 2023.07.21 |
23년 6월, 드디어 아이패드에서도 유튜브 커뮤니티가 열리게 되었습니다. (0) | 2023.06.25 |
댓글